젖병세척기 속 미세플라스틱, 아기 건강은 괜찮을까? (2025년 최신 정보)
젖병세척기 미세플라스틱 논쟁은 부모들에게 매우 민감한 주제입니다. 아기의 젖병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척기에서 오히려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은 부모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반복적인 세척 과정에서 열과 마찰, 화학 성분의 영향을 받아 표면이 손상되며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입자가 떨어져 나옵니다. 이 미세 입자들은 젖병 속에 남아 아기가 분유나 모유와 함께 섭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성인보다 신체 방어 체계가 미성숙한 영유아는 상대적으로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이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생활 속 실천 방법이 필요합니다.
1. 젖병세척기 미세플라스틱, 어디서 생기나요?
첫 번째 원인은 고온 세척 및 스팀 건조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PP) 젖병을 70℃ 이상의 고온에 노출했을 때 표면 구조가 변하면서 수백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있습니다. 스팀 소독 과정에서는 실리콘 젖꼭지에서도 미세·나노 입자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재질에 상관없이 열과 압력이 반복되면 입자 방출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는 세제 성분과 pH입니다. 알칼리성이 강하거나 세척력이 높은 세제는 플라스틱 표면의 내구성을 약화시켜 미세 균열을 만듭니다. 이 균열은 반복 세척 과정에서 점점 커져 더 많은 입자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세 번째는 물리적 마모입니다. 세척솔이나 브러시, 세척기 내부 바스켓과의 반복적인 마찰은 젖병 표면에 스크래치를 남깁니다. 노후화된 젖병일수록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 주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2. 왜 영유아가 더 취약할까요?
영유아는 장내 미생물군이 형성되는 시기로, 외부 자극에 민감하며 장벽 기능도 아직 완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작은 입자가 체내로 더 쉽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는 비스페놀류, 프탈레이트와 같은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호르몬 신호를 교란하여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태반과 제대혈, 심지어 태변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습니다. 이는 아기가 태어나기도 전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임신부와 영유아의 관리가 특히 중요한 이유를 보여줍니다.
3. 실제 위험도는?
WHO와 여러 연구기관은 미세플라스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아직 명확하게 규정하기 어렵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다만 불필요한 노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는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동의합니다. 즉, 과도한 불안보다는 생활 습관 속에서 노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4. 안전한 젖병 세척·소독 체크리스트
① 스팀 소독이나 끓는 물 소독 후에는 반드시 식힌 멸균수로 한 번 더 헹구세요. 뜨거운 표면에서 입자가 떨어져 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② 분유 조제는 유리컵이나 스테인리스 용기에서 먼저 하고 식힌 뒤 젖병에 옮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③ 세제는 중성·저자극 제품을 사용하고, 금속솔보다는 부드러운 스폰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젖병세척기를 사용할 때는 상단 랙에 배치하고, 고온 건조 모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⑤ 젖병에 변색이나 흠집이 많아졌다면 교체 신호로 보고, 가능하다면 유리 젖병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국내외 규제 움직임
대한민국은 2011년부터 BPA 사용을 금지했고, 영유아 제품의 프탈레이트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23년부터 의도적으로 첨가된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단계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규제는 모두 소비자의 불필요한 노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젖병세척기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단순한 불안의 대상이 아니라, 생활 속 작은 습관으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마찰·고온·강알칼리 조건을 줄이는 것. 둘째, 유리·스테인리스 같은 비플라스틱 용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실천은 아기의 건강을 지키면서도 부모의 마음을 안심시킬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