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당뇨망막증이 시력을 잃게 하는 과학적 메커니즘

motionscape 2025. 8. 16. 08:54

당뇨망막증이 시력을 잃게 하는 과학적 메커니즘


1. 당뇨망막증이란 무엇인가?

당뇨망막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는 합병증입니다. 망막은 눈 속에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뇌로 전달하는 ‘필름’ 같은 역할을 하는데, 혈관이 손상되면 시력이 서서히, 또는 갑작스럽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당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이 손상은 되돌릴 수 없게 진행됩니다.

2. 고혈당이 만드는 첫 번째 문제 – 미세혈관 손상

고혈당은 망막의 미세혈관에 다음과 같은 변화를 유발합니다.

혈관벽 단백질 당화

혈당이 높으면 혈관벽 단백질이 ‘당화’되어 탄력을 잃고 약해집니다.

산화 스트레스 증가

포도당 과대사로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킵니다.

혈액 점도 상승

적혈구와 혈소판이 끈적해져 혈류 흐름이 느려지고, 모세혈관이 쉽게 막힙니다.

3. 혈액 공급 차단 → 산소 부족

혈관이 막히면 망막 조직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허혈 상태가 됩니다. 이때 망막은 ‘응급 신호’를 보내며, 새로운 혈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4. 신생혈관 형성과 부작용

망막은 VEGF(혈관내피성장인자)를 분비해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지만, 새로 생긴 혈관은 구조가 약하고 쉽게 파열됩니다. 그 결과, 망막이나 유리체 출혈이 발생하여 시야에 검은 점(비문증)이 보이거나 시력이 급격히 저하됩니다.

5. 황반부 부종과 중심 시력 손상

손상된 혈관에서 혈장 성분이 새어 나와 황반 부위에 부종이 생기면, 글자 읽기나 얼굴 인식처럼 정밀한 시각 기능이 저하됩니다.

6. 섬유화와 망막박리

반복된 출혈과 염증은 망막에 흉터조직(섬유조직)을 형성합니다. 이 섬유조직이 망막을 잡아당기면 견인성 망막박리가 발생하며, 망막이 제자리를 벗어나면 빛을 감지할 수 없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 시력 상실 경로 요약

  • 고혈당 → 미세혈관 손상
  • 산소 부족 → 신생혈관 생성
  • 신생혈관 파열·출혈 → 망막 기능 저하
  • 황반부 부종 → 중심 시력 상실
  • 섬유화·망막박리 → 완전 실명 가능

8. 예방과 조기 발견이 최고의 치료

당뇨망막증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므로, 정기적인 안저검사와 철저한 혈당 관리가 필수입니다. 시력 손상이 시작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곧 시력 보존의 핵심입니다.

#당뇨망막증 #시력저하원인 #망막질환 #당뇨합병증 #시력보호 #눈건강 #황반부종 #망막박리 #VEGF #안과질환예방